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간암의 조기검진
    암/간암 2008. 1. 1. 11:49

    간암 검진의 기본

     

    암검진의 진정한 의미는 검진의 결과로 발견된 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함으로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있습니다.

    과거에는 간암에 대한 효과적 치료법이 수술적 절제술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최근 여러 치료법이 개발되고 활용됨에 따라 간암의 위험도가 높은 B형 및 C형 간염과 간경변증 환자들은 간암 검진 프로그램을 통해 확실히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암의 검진 권고안 (국립암센터, 대한간학회)

     

    간암은 발생 초기에는 진행 속도가 매우 느리므로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은 조기진단을 통하여 암의 진행을 막기 위한 필수적인 방법입니다.

     

    한 연구 결과를 보면 간암의 크기가 두 배로 커지는데는 4개월 정도가 걸린다고 합니다. 간암의 조기진단에 사용되는 초음파 검사는 1cm 정도의 간암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정기적인 검진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아 조기진단되는 간암이 20% 미만입니다.

     

    ▶ 검진 연령 : 남자 30세, 여자 40세 이상으로 아래의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에게 간암 검진을 권고함.

        ① B형 또는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 환자.

        ②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과 C형 간염바이러스 항체가 모두 음성인 간경변 및 기타 간암 발생 고위험군.

     

    ▶ 검진 주기 : 6개월

     

    ▶ 검진 방법 : 복부 초음파 검사와 혈청 알파태아단백 측정

     

    ▶ 고려 사항

        - 상기 검진 대상에 기재된 이외에도 간암 발생의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나이에 제한 없이 검진을 권고할 수 있으며 환자의 연령,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검진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검진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음.

        - 대상자의 나이, 성별, 간경변의 진행정도, 음주 습관, 가족력, 기왕의 검진결과 등을 고려하여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될 때는 검진 간격을 단축하거나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검진 방법에 추가할 수 있음.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