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수 방사선치료 2건강 일반 2008. 1. 27. 12:41
■ 정위적 방사선수술/치료
(Stereotactic Radiosurgery/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1. 정위적 방사선수술/방사선치료란 무엇인가요?
정위적 방사선수술이란 특수장비를 이용하여 환자를 고정한 상태에서 특정 병소 부위에만 많은 양의 방사선을 정밀하게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즉, 이 특수치료방법은 병소에는 최대한의 방사선을 조사하지만 병변 밖에서는 방사선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정상조직에 최소한의 방사선만을 조사할 수 있어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정위적 방사선 수룰은 이름처럼 수술을 하는 것이 아니라 1회에 원하는 많은 방사선량을 모두 조사하기 때문에 수술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정위적 방사선치료란 정위적 방사선수술과 같은 특수장비를 이용하기는 하지만 원하는 방사선량을 1회에 조사하는 것일 아니라 여러번에 나누어 조사하는 치료방법입니다. 치료효과에는 차이가 없으며 병변의 종류, 위치, 크기. 이전의 치료방법 및 환자의 상태 등 다양한 면을 고려하여 두가지 방법 붕 한가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1951년에 정위적 방사선 수술에 대한 개념이 도입되어 치료가 시작된 이후 치료장비 및 치료방법에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1968년에 「감마나이프」라고 알려진 정위적 방사선수술을 위한 치료기계가 개발되었고 1984년부터는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정위적 방사선수술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체외방사선 치료기계인 선형가속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작된 보조기구 및 장비와 컴퓨터 프로그램만 있으면 별도의 고가 치료기계의 도입없이 치료를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에 드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아주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국내에서는 처음 소개되는 정위적 방사선수술 장비를 구입하여 환자를 치료하고 있습니다.
2. 정위적 방사선수술/방사선치료는 어떤 경우에 시행되나요?
병소의 종류, 크기, 위치, 이전의 치료방법 및 환자상태에 따라 신경외과 전문의와 치료방사선과 전문의가 협의하여 정위적 방사선수술 혹은 정위적 방사선치료의 시행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크기가 4cm 이하인 종괴로서 다음과 같은 경우 시행될 수 있습니다.
첫째, 수술로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양성 혹은 악성 종양(뇌하수체선종, 수막종, 청신경초종, 악송 신경교종, 전이성 뇌종양 등)이 위치해 있는 경우에 수술을 대치할 목적으로.
둘째, 수술 후 남아있는 잔여종양 혹은 수술 후 재발된 경우.
셋째, 방사선 치료 후 재발한 경우.
넷째, 뇌혈관기형과 같은 양성질환에서 수술을 대치하는 치료방법으로.
3. 정위적 방사선수술/방사선치료는 어떻게 시행되나요?
정위적 방사선수술 혹은 정위적 방사선치료의 종류 및 시기가 결정되면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치료가 진행됩니다.
1) 정위적 방사선수술
환자는 시술 하루전에 신경외과로 입원하여 전 처치를 받습니다.
- 신경외과에서 시술 당일 아침에 치료시 환자의 머리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병소의 취치를 3차원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국소 마취하에 정위틀을 머리에 부착합니다.
- 병소 및 주위의 정상조직을 영상화하고 3차원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하여 컴퓨터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촬영을 시행합니다. 뇌혈관기형의 경우 혈관조영술을 추가로 시행합니다. 이후 환자는 정위틀이 다른 곳에 부딪히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병실에서 대기합니다.
- 치료방사선과에서 정위적 방사선수술/방사선치료를 위한 전산화 계획 시스템을 사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합니다. 약 4∼6시간 정도가 소요됩니다.
- 수립된 계획을 치료방사선과 및 신경외과 전문의가 협의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하면 치료방사선과로 환자를 이동시켜 치료를 시행합니다. 총 치료시간 30분에서 1시간 정도가 소요됩니다. 치료시 환자는 어떠한 고통이나 느낌도 받지 않으며 단지 몸을 움직이지 않고 편안한 상태에서 누워 계시면 됩니다. 방사선이 조사되는 동안 치료실에는 환자분 이외에는 계실 수 없으나 모니터를 통해 항상 환자를 관찰할 수 있으며 수시로 치료실로 들어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때문에 환자분은 불안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방사선수술 직후 발생할 수 있는 뇌부종을 관찰하기 위하여 하룻밤을 더 입원한 후 다음날 퇴원합니다. 뇌부종에 대한 처치를 치료 전후에 하기 때문에 대개의 경우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2) 정위적 방사선치료(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
- 외래에서 통원치료가 가능하며 체외 치료시처럼 모의 치료계획이 필요합니다. 정위틀을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를 사용하는 정위적 방사선수술과는 달리 여러번 재사용이 가능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인 마스크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국소마취가 필요하지 않으며 고통도 전혀 없습니다. 이러한 정위틀을 만들기 위하여 30분에서 1시간 정도가 소요됩니다.
- 정위틀을 부착한 상태에서 컴퓨터단층촬영과 자기공명 영상촬영을 시행하고 환자는 귀가합니다.
- 치료방사선과에서 정위적 방사선수술/방사선치료를 위한 전산화 계획 시스템을 사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합니다.
- 치료계획에 따라 예약된 시간에 매일 통원치료를 받게 되며 치료방법은 정위적 방사선수술과 동일합니다. 하루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이 적기 때문에 뇌부종과 같은 부작용의 빈도가 낮아 치료전후의 처치나 입원하여 환자상태를 관찰할 필요는 없습니다.